심장조기수축 왼쪽 가슴 답답하고 숨쉬기도 힘들면

심장조기수축

심장조기수축

반갑습니다. 24년 간 심장 위장 마음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특별한 이유를 알지 못하고 가슴이 답답하면 생활이 불편할 것입니다. 가슴답답함과 동시에 숨쉬기도 편하지 않으면 그 불편함은 배가 될 것인데 만약 일정 시간 이동을 못하고 오래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심리적인 불안마저 커갑니다. 어둡고 환기가 잘 안되는 공간에 있다면 조금 더 힘들어집니다.

 

공황장애나 불안장애가 심하다면 가슴답답하고 숨쉬기 힘든 증상이 더 자주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하철을 타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MRI 검사를 위한 통 안에 들어가는 건 몹시 힘든 일이 됩니다. 꼭 필요한 검사라면 검사 시간을 줄여 좁고 어두운 공간에 오래 머물지 말아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러기가 쉽지 않습니다.

 

심장조기수축 역시 가슴을 불편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한 부정맥과 관련이 있습니다. 가슴이 답답하고 아픈 2가지 원인은 협심증과 부정맥입니다. 이들 중 하나만 진단받은 경우도 다수이지만 두 가지 모두 진단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심장조기수축 증상은 말그대로 심박동이 조기에 이루어진다는 의미인데 심방이나 심실 박동에서 중간에 한 번 씩 쉬는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쉬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상 주기에서 벗어난 박동이 있을 뿐 심장이 순간적으로 멈춘 것은 아닙니다.

 

이와 더불어 왼쪽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협심증이 가슴 가운데가 묵직하고 아픈 증상을 일으키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사람의 맥박이 100% 정확하기만 할 수는 없습니다. 컨디션이 좋지 않고 피로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자주 받게 되면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기 마련입니다. 심장조기수축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한 가지 더 있는데 그것은 바로 위장기능저하입니다.

 

타고나기를 위장이 약한 경우도 있지만 다수가 나이가 들면서 소화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도 인체 기능 저하가 수반되는데 갱년기 이후엔 기능 저하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평소 소화가 잘 된다고 하여도 과식을 하면 복부팽만감과 함께 상복부에 압력이 올라갑니다. 이는 상복부 팽만으로도 이어지고 곧 가슴을 압박하게 됩니다. 이때 호홉이 관련된 중요한 기관인 횡격막의 상하 운동이 지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숨을 들이 쉴 때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데 상복부에 걸려 운동에 지장을 받는다면 숨을 쉬기 힘들고 가슴이 답답합니다. 우리가 심폐 기능이라고 표현하듯 호흡이 불편하면 심장 기능 역시 영향을 받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빠른 맥박과 더불어 불규칙한 박동이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만들면 가슴도 숨도 편안해지는데 이는 일단 심장을 기능적으로 강하게 만들어야 가능합니다. 심박출력을 키우는 치료가 필요한 것인데 이를 통해 심장에서 일률적인 피의 분출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위장으로 혈액 공급을 늘려 소화력을 증진하게 됩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