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치통증 소화불량 속 답답함이 지속된다면

명치통증 소화불량

명치통증 소화불량

반갑습니다. 24년 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속이 답답하면 숨도 잘 안쉬어지는 것 같습니다. 속은 가슴을 말할 수도 있고 위장을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가슴이든 위장이든 어느 한 가지만이라도 답답하면 2가지 모두 답답하게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소화기관은 입부터 가슴을 지나 복부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소화관은 하나의 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분해되지 않은 음식물이 정체된 부위에 통증과 답답함을 일으킵니다.

 

식도에서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거나 아니면 역류성식도염으로 인해 위 내용물이 역류하여 식도를 가득 채우면 식도가 팽창하여 가슴이 더부룩합니다. 위 안에 음식물이 분해되지 않으면 상복부가 더부룩해지고 누워있을 때도 언덕처럼 솟아있게 됩니다.

 

명치통증 소화불량 증상이 이런 식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무리하게 복근 운동을 하거나 배에 힘을 많이 준 상태에서 명치가 뻐근하고 아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복부 근육통이므로 배에 힘을 덜 주고 부드러운 마사지나 찜질을 하면 금세 풀어집니다. 하지만 소화가 안되면서 명치가 아픈 증상은 원인이 위장 운동 기능이 떨어지고 소화 효소의 분비가 부족한 탓이기 때문에 위장 기능이 온전해지지 않은 이상 온전하게 회복되지를 않습니다. 마사지나 찜질을 하면 잠깐 동안 근육이 풀어진 것 같지만 시간이 조금만 흘러도 다시 근육은 뭉치게 됩니다.

 

이렇게 근육이 뭉치고 잘 풀어지지 않는 현상을 담적이라 부릅니다. 담적은 ‘담이 쌓였다’ 라는 뜻입니다. 담은 담음의 줄임말인데 한자로는 痰飮으로 표기합니다. 담음은 가래처럼 부드럽고 유동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습과 열의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부드러운 담음도 시간이 지나고 양이 늘어남에 따라 서로 엉기어 붙어서 담적이 되는데 복부를 시작으로 갈비뼈 하단 옆구리 허벅지 외측  팔과 어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근육을 뭉치게 만들고 통증을 유발합니다.

 

명치통증 소화불량 역시 담음과 담적의 소산물입니다. 이들이 줄어들면 증상이 나아질 것입니다. 담음과 담적은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소화기능이 잘 안되어 발생하는 노폐물입니다. 순환을 주관하는 가장 중요한 장기는 심장입니다. 심장에서 전신의 모든 장기를 위해 혈액을 충만하게 배출해야만 각 장기들이 원래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위장 역시 활동을 하기 위해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심장에서 피를 공급받아야 합니다.

 

혈액을 원활하게 공급하려면 심장이 기능적으로 강해야 합니다. 심장이 튼튼하여 심박출력이 좋아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심장이 펌프로서 기능이 좋아져야 전신에 원활한 혈액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위장에 혈액이 충만하게 공급되어 위장운동기능과 소화효소 분비기능이 향상되면 위장관 안에 음식물이 머무르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러면 속이 비워지고 편안해집니다.

 

치료를 통해 명치통증 소화불량 모두 좋아지게 됩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