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에게 밥은 미래 성장의 에너지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입장에서 아이가 밥을 안 먹을때처럼 속이 상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실컷 고생스럽게 준비한 식사를 아이가 나몰라라하고 딴청 피우는 것도 짜증이 나지만, 왠지 몸이 늘어져 있고 입맛이 없어보이는 듯한 표정을 짓고 있으면 가슴이 아프기도 합니다. 안 먹으면 당연히 키와 체중의 증가가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적절한 영양소 특히 단백질의 부족은 면역 세포의 활성을 더디게 하여, 쉽게 검기에 걸리게 하고, 자주 아프게 만듭니다. 신경세포의 발달이 뒤쳐지게 되면, 두뇌 발달도 늦어질 수 있어, 나중에 학습 능력이나 능률이 떨어지제 되는 원인이 됩니다. 밥안먹는아이 치료를 위해선 두가지 관점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첫번째는 기력 손실이 현저하여 즉, 너무 골골하여 음식을 섭취할 기본적인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이고, 두번째는 소화기능의 부족입니다. 이런 경우 조금만 먹어도 복부가 빵빵해지고 아이가 배가 자주 아프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밥안먹는아이 고치는 두가지 방법
사람이 너무 피곤하면, 다른 사람과 말하는 것 조차 귀찮을때도 있고, 감기를 오래 앓은 후 처럼 몸이 늘어져 있을때는 밥먹기도 여간 힘든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이들도 이와 다를바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억지로 밥을 섭취시키기 보다는 몸에 부족한 영양소를 간접적으로 섭취한 후 점차 입맛이 살아나면 점차 음식 섭취량이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위장기능이 떨어진 경우 위 운동기능부족으로 음식물이 위 안에 정체되는 일이 많은 편입니다. 이런 경우 성장을 목적으로 처방된 한약 자체가 소화가 덜되는 일이 있으며, 심한 경우 약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데, 성장에 관련한 한약재가 위장에 부담을 주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위장자체에 대한 부담이 적으며, 위장기능을 키워주는 한약의 복용으로 소화기가 개선되면, 밥을 더 잘 먹게 됩니다.
글: 한의학박사 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