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 원인 치료
설사 원인 치료를 하려면 어떤 사람들이 설사를 잘 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음식 섭취에 따라 설사를 잘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대개 찬음식이나 매운음식을 섭취하면 설사를 잘하고, 술을 드시면 다음날 꼭 설사를 한다는 분들도 계십니다. 기름진 음식을 먹고 설사를 하시는 분들도 많은 편입니다.
간혹 설사를 한다면 장이 좀 약하거니와 생각하고 대수롭지않게 넘어갈수도 있으나 만성설사로 이어진다면 날이 갈수록 체중도 줄어들고 기력도 많이 손상되어 항상 몸이 가라앉고 피곤해집니다. 설사 원인 치료를 위해 만성 설사 환자들 진맥을 보면 침(沈)맥이라고 하여 가라앉는 맥상을 보입니다. 대개 대량출혈이나 설사후 나타나는 맥상으로 몸이 많이 여위어 있는 분들에게 많이 나타나고 몸에 진액 부족증이 있고 추위도 상당히 많이 타는 편입니다.
대변이 묽어지는 것은 대장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지거나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상으로 몸에 수분이 정체된 경우로 설사 원인 치료를 한의학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분이란 한의학에선 습(濕)이라는 용어를 쓰게됩니다. 병의 원인을 나눌때 그 원인들중에 하나이며, 장마철처럼 외부에 습한 기운이 많을때 인체외부의 습이므로 외습(外濕)이라고 하고, 인체내부의 비장이나 신장의 기능이 떨어져 몸안에 정체된 습을 내습(內濕)이라고 합니다.
설사를 잘한다는 것은 몸의 수분대사가 원활치 않다는 의미이며, 앞서 설명한 대로 섭취한 음식의 영양을 사지말단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가진 비장과 소변을 배출하는 신장의 기능저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중 소화자체와 관련된 비장이 설사 원인 치료의 핵심으로 주목할 수 있습니다.
설사를 하는 초기 즉 특정 음식물이 원인이 되어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몸의 중앙에 습이 정체하지 않도록 비장의 기능을 도와주고 소변의 배출을 평소보다 늘리는 치료법을 쓰게 되고, 만성설사로 이어지면서 기존 치료법이 잘 듣지않는 경우에는 설사로 줄줄 새어나가는 것을 틀어막는 치료법을 쓰게 됩니다. 이를 수렴한다고 합니다.
설사 원인 치료의 기본은 대변과 소변을 잘 갈라지게 하는 것이며, 비장이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 비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주로 인체의 기운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장의 기(氣)를 보하는 약물로 원기를 회복하면서 습이 과도하게 정체하지 않도록 담(痰)을 제거하는 약재를 배합하여 처방을 하게 됩니다.
글: 한의학박사 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