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부진 체중감소
안녕하세요. 24년 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매사 기운이 없고 의욕이 없으며 입맛도 저하되어 식사 때도 밥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질환을 무기력증이라 부릅니다. 현대인은 서로 말을 안 하지만 무기력한 상태가 많으며 다만 증상이 나타나는 정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뿐입니다. 아침에 개운하게 일어나기가 힘들고 일 할 때 금세 지치는데 특히 육체적으로 활동을 많이 하는 경우 더 기운이 없습니다. 사무직 종사자 역시 머리가 맑지 않고 집중력이 떨어지므로 업무 효율이 떨어지고 빨리 집에 가서 눕고 싶다는 생각이 많아집니다.
식욕부진 체중감소 역시 만성피로와 무기력증으로 이어집니다.
음식 섭취량이 줄어들면 매 끼니 마다 충분한 식사를 하지 못합니다. 입맛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입맛이 줄어든다는 건 이전에 섭취한 음식물이 분해가 되지 않은 채 위장관 내부에 머무른다는 뜻입니다. 특히 위와 소장에 말입니다. 흔히 위장병이라고 하면 저장기관인 위만 생각하기가 쉬운데 소장의 움직임 역시 중요합니다.
위에선 단백질 분해가 주 목적인데 소장의 입구인 십이지장에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3대 영양소 모두의 분해를 할 수 있습니다. 십이지장은 위에 비해 직경이 좁고 길기 때문에 음식물 분해가 더디면 아랫배 팽만을 유발합니다. 배꼽 주변 상하좌우가 소장에 해당하는 영역이며 이 부위가 단단하게 뭉친 경우 만성 소화불량으로 이어집니다.
식욕부진 체중감소 현상은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이미 섭취한 음식물이 위와 소장 안에 오래 머물기 때문인데 이는 위와 소장의 운동 기능이 떨어지고 소화효소의 분비가 줄어든 탓입니다. 삼시세끼 적어도 두끼라도 충족하게 드셔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이고 날이갈수록 섭취할 수 있는 음식량이 줄어들면 팔다리가 날이 갈수록 가늘어집니다. 심한 경우 근육량이 너무 줄어들어 근력이 거의 바닥으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살이 금방 찌고 싶은 마음은 십분 이해하나 모든 건 단계를 밟아야 합니다. 위장의 자연스런 운동기능과 소화효소 분비가 늘어가 소화력이 차근차근 나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소화가 어느 정도 회복한 이후에도 너무 음식을 절제하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사람의 장기는 쓰면 쓴 만큼 기능이 늘어나는데 계속 죽이나 미음만 섭취하다 보면 나중에 위와 소장의 기본 기능이 소실하게 됩니다. 40대 연령에서 70대의 소화력을 가지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식욕부진 체중감소 치료를 위해 전반적인 소화력을 높여야 하는데 우선 심장이 강해져야 합니다. 위장은 스스로 활동할 에너지를 만들 수 없으므로 심장에서 양질의 혈액이 위장으로 공급되어야 위장이 스스로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인내를 가지고 치료 받다 보면 소화력이 개선되어 육류 섭취도 늘고 체중도 늘고 기운도 올라올 수 있습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