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 구역질
안녕하세요. 24년 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가래가 많이 나오지 않으면서 혹은 없으면서 기침이 수시로 나오고 잘 멈추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마른 기침이라 부르기도 하는 증상인데 주로 노년 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보다 젊은 연령에서도 나타나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마른 체형에 타고나기를 기관지가 약한 경우가 그러한데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역류성식도염 구역질 증상이 있다면 가래가 별로 없는 만성 기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구역질 기침은 주로 식후에 나타납니다.
식사 때가 되더라도 전혀 입맛이 없고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하고 송복에도 트림이 끊이지 않고 나온다면 만성 소화불량 상태입니다. 심하면 고형식의 식사를 하지 못하고 죽 더욱 심하면 미음이나 환자식을 드시면서 생활을 이어나가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생활은 정상적인 직장인처럼 오랜 시간의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잠깐 동안 활동을 하고 휴식을 취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근력이 너무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음식에서 영양 섭취가 잘 되지 않아 근육이 마르기 때문입니다.
이 정도로 심하지 않더라도 역류성식도염 구역질 증상은 식후 음식물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납니다. 음식물이 저장 공간인 위에 오래 머물게 되면 상복부가 팽만히고 명치 아래가 답답할 수 있습니다. 위는 입구와 출구가 좁고 내부 공간이 넓은 편이므로 음식물이 충분히 부드러운 형태로 바뀌지 않는다면 좁은 출구를 지나 십이지장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다음 장기로 잘 가지 못한 음식물은 결국 위와 식도 사이의 헐거워진 틈을 통해 역류하는데 이때 역류하는 물질은 단단한 형태가 아니라 부드러운 죽과 같은 모습니다. 소화가 덜 된 음식물이 식도를 지나 입으로 나오는 걸 구토라 부르는데 구역질은 음식물이 나오려는 기운이 올라오는 전조 증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구역이 심해지면 구토가 되는 것입니다.
음식물이 위 안에 오래 머물면 미주 신경이 자극되어 이것이 기침을 유발하므로 반드시 폐 기관지에 문제가 없더라도 식후 음식물 분해 능력이 떨어지면 가래가 별로 없는 마른 기침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류성식도염 구역질 기침 치료는 위 안에 음식물이 정체되는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위장 운동기능과 소화 효소 분비능력이 좋아져야 하며 이는 심장에서 위장으로 양질의 혈액이 잘 전달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려면 심장의 펌프기능이 좋아져야 하고 이는 곧 심장이 기능적으로 강해져야 합니다.
저는 심장을 강하게 만드는 것을 역류성식도염을 비롯한 위장병 치료의 기본 원리고 삼고 있습니다. 치료를 통해 상복부가 편해지면 구역도 나타나지 않고 기침도 줄어들게 됩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