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혹시 공황장애일까

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반갑습니다. 24년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의학박사 한진 입니다.

 

가슴두근거리는 증상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흔히 겪게 됩니다. 숨을 멈추고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을 하면서 혹은 다른 사람앞에서 발표를 하거나 시험을 보기 전에 긴장하면 심장이 콩닥거립니다. 대부분은 병적인 상황이 아니므로 시간이 지나면 가슴은 다시 평온해집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증상이 그러한 예입니다.

 

그리고 가슴이 수시로 두근거리면 답답한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이때 숨쉬기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호흡곤란에 불안하고 가슴답답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 바로 공황장애입니다. 소화기능이 떨어지면서(설령 소화는 잘 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음식물이 위장안에 오래 머무는 경우도 있음) 복부에 가스가 잘 차고 상복부가 부어 오르면 가슴과 배의 경계인 횡격막이 가슴 방향으로 압박을 받습니다. 횡격막은 들숨시 아래로 내려가 흉강의 공기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가슴 공간에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어 심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심호흡은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킵니다. 숨을 천천히 들이 쉬고 느리게 내 쉬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산 꼭대기에 올라가 심호흡을 한다고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드넓은 광경과 더불어 가슴이 시원해집니다. 호흡이 편치 않으면 마음이 불안한데 공황장애 치료의 핵심은 바로 호흡과 가슴답답 증상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증상엔 가슴답답함과 호흡불편함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우선 식도의 해부학적 구조를 알아야 합니다. 식도는 식사를 하지 않는 공복 시엔 납작하게 눌려 있습니다. 그러다 음식물이 지나가면 팽창하게 되는데 위산과 소화가 덜된 음식물이 섞인 혼합물이 위 내부로 부터 식도로 역류하는 경우에도 식도는 팽창합니다. 식도는 목부터 명치까지 이어지는 장기이므로 가슴부위 식도에 새로 섭취한 음식이든 역류한 물질이든  가득 차면 답답함을 유발합니다. 이 자체만으로도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집니다.

 

가슴 불편감은 심장 박동을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횡격막이 아래로 잘 내려가지 않으면 팽만한 상복부가 횡격막을 압박하여 경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횡격막의 경련 자체가 가슴두근거림으로 느껴지기도 하는데 구근거림으로 인해 마음이 불안하면 실제로 심장 박동이 더 빨라지기도 합니다. 가슴이 두근거릴 때 사람마다 맥박수는 다른데 맥박이 90이나 100회상으로 빠른 경우도 있지만 원래 심박동이 60이나 70대면 85회 이상만 되더라도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역류성식도염 두근거림 증상은 불면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아예 잠이 오지 않는 상황도 있겠지만 대부분 잠이 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시말해 눈을 감라도 잠이 잘 오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잠에 들어도 중간에 자주 깨고 다시 잠이 잘 오지 않는 일이 반복되면 종일 피로하고 졸린 증상이 나타나 업무 집중력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치료는 심장을 강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심장이 튼튼하면 위장으로 혈액을 잘 보내 소화력이 증진되고 위 안에 음식물 정체가 나타나지 않아 식도쪽으로 위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고 식도가 항시 비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식도 팽창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결국 가슴이 편안해지고 두근거리는 증상도 사라지게 됩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