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23년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해온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저는 오랜 기간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진료는 물론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진료하면서 환자분들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인데 말하자면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발생하는 이유와 생활습관의 관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목이물감은 위염이나 다른 소화기 질환과 구별짓는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목에 뭔가 걸린 느낌을 말하며 가래 같은 게 끼어 있는데 잘 뱉어지지도 않고 삼켜지지도 않습니다. 간혹 뱉어지는 게 있다면 소량의 흰색 가래가 나오기도 합니다. 원래 폐 기관지가 약하다고 잔기침을 많이 하시는 경우엔 염증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이나 녹색 가래가 비춰지기도 합니다.
역류성식도염 목이물감은 특히 후두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를 역류성후두염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후두는 외부 공기가 몸 내부로 드나드는 출입구 역할을 합니다. 여기를 통해 위에서 역류한 물질(위 내용물이라 부름)이 아주 미세한 형태로 넘어와 자극하여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상황입니다. 기도는 식도의 전상부에 위치하는데 지속적인 역류로 기도로 미세하게 넘어가고 이는 목에 이물질이 낀 느낌 뿐만 아니라 만성 기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위 내용물이 기관지를 자극하여 기침을 일으키는 상황입니다.
후두 아래에는 성대가 위치하고 있는데 역류성식도염 목이물감 환자분들이 쉰목소리 그리고 노래할 때 음이 잘 올라가지 않는 증상으로 고생하시는데 이는 위 내용물이 후두 아래로 진입하여 성대에도 염증을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위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흔히 건강검진에서 내시경 검사를 받고 역류성식도염 진단을 받으면 위산분비억제제를 처방받습니다. 경미한 경우엔 금세 낫겠지만 잘 낫지 않고 오래 가는 경우는 평소 위액 분비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는 위점막이 얇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위산을 분비하는 조직 역시 줄었음을 의미합니다. 위산 자체가 부족하여 음식물의 기초적인 분해가 잘 안되는 상황에서 위산분비억제제를 장기간(짧게는 5일 길게는 4주) 복용하면 음식물 분해 속도가 더디어질 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건 소화력 부진은 위 내부에 음식물 정체를 일으키고 이는 위 내부 압력을 높여 위와 식도 사이의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을 떨어뜨립니다. 그러면 위와 식도 사이의 틈이 벌어져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식도는 목부터 가슴을 지나 명치 부근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위 내용물이 머무는 부위에 염증 반응과 관련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역류성식도염 목이물감도 이런 방식을 따르는 것입니다.
역류성식도염 목이물감 한방 치료
저는 역류성식도염을 치료하기 위해 위장의 자연스런 활동을 살리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위 운동기능을 개선하고 위 내부의 원활한 산도 조절에 치료의 초점을 맞춥니다. 위산이 부족하면 분비량을 늘리고 넘쳐나면 제어하는 인체 자신의 제어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선 심장에서 위장으로 원활한 혈액 공급이 필요합니다. 양질의 피가 위에 전달되어야 위 본연의 기능이 살아날 수 있는 것입니다.
치료를 통해 목도 가슴도 편안하고 소화도 잘 돠어 역류성식도염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