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심장도 걱정 되신다면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반갑습니다. 24년간 심장 위장 마음 질환을 주로 진료하고 있는 한진 대표 원장입니다.

 

요즘 흔하게 내시경 검사를 하기 때문에 위식도 역류질환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서구화된 식습관에 한국인 특유의 빨리 밥을 먹는 것도 한 몫을 합니다. 현대 사회는 스트레스가 많은 만큼 자극적인 향신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고 커피를 즐겨 마시는 것도 식도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저녁에 귀가하면 식사 후 운동이나 별다른 움직임 없이 소파에 몸을 기대는 것도 위 안에 남아 있는 음식물의 역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됩니다.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증상은 일단 구조적 기능적 문제입니다.

 

식도는 평소 음식물이 지나가지 않는 상황에서 납작하게 눌린 형태입니다. 그러다 섭취한 음식물이 내려가거나 혹은 위 내용물(위산과 분해가 덜된 음식물이 섞인 혼합물)이 역류하여 가슴 부위 식도를 채우고 식도가 팽만할 때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다음은 호흡의 문제로 발생하는데 원래 천식이나 기관지염이 있다면 숨쉬는 게 더욱 불편할 것입니다. 호흡계통의 문제가 없더라도 만성 소화불량으로 상복부 팽만이 심하면 흉복부의 경계를 이루는 횡격막을 가슴 쪽으로 압박할 수 있습니다. 숨을 들이 쉴 때 횡격막은 아래로 내려가고 내쉴 때 위로 올라가는데 들숨시 상복부 팽만으로 횡격막이 잘 내려가지 않으면 숨이 잘차고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소화불량은 횡격막의 상하운동을 방해하는 것이 소화기관의 기능적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화관의 기능은 위장의 운동기능과 시의 적절한 소화효소의 분비 능력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식도와 위 운동기능이 떨어지면 음식물이 위 안에 오래 머물게 되어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그리고 30대 중반 이상에서 흔하게 진단받는 위축성 위염이라고 있습니다.

 

위점막이 위축되어 위산을 분비하는 힘이 떨어지는 상황을 말합니다. 그러면 그전에 소화가 잘 되던 음식물 역시 분해가 잘 안되는 일이 벌어집니다. 만약 이런 상황에서 위산 분비 억제제를 처방받아 일정 기간 이상 복용하게 되면 그 전보다 소화가 더 안되는 일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땐 위장운동 기능을 더욱 높여 음식물의 물리적 분해를 더 촉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장 기능이 떨어진 경우 역시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는 해부학적으로 심장과 인접하고 있습니다. 둘다 가슴 중앙과 약간 좌측으로 치우친 구조입니다. 식도의 팽창은 심장의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특히 펌프 기능의 약화를 초래합니다. 그러면 심장은 스스로 박동수를 높이게 됩니다. 다른 장기나 기관을 위해 항상 혈액을 공급해야 하는 사명감 때문입니다.

 

맥박수가 빠를 때 가슴이 두근거림과 답답한 기분이 자주 들고 가슴이 허하고 쿵 내려앉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따라서 역류성식도염 가슴답답 그리고 심장에 대한 불안감이 함께 있다면 심장의 기능적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치료해야 합니다. 그래야 맥박수를 안정시켜 가슴을 평안하게 만들 수 있고 위나 식도로 혈액을 충만하게 보내어 스스로 운동기능을 향상시킨다면 전반적인 소화력이 증진되기 때문에 위식도 역류질환을 치료함은 물론 가슴을 평안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