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팽만 소화불량 가스차고 식욕 없을 때

복부팽만 소화불량

복부팽만 소화불량

안녕하세요. 24년 간 역류성식도염 부정맥 갱년기 질환을 주로 진료해 온 한의학박사 한진 입니다.

 

전체적으로 비만으로 보이지 않는 체형인데 유독 복부만 심하게 나온 분들이 계십니다. 음주와 고량진미를 좋아하시어 과체중 그리고 복부비만으로 이어진 경우도 많지만 그렇게 음식을 즐겨 섭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임산부나 아니면 올챙이처럼 배가 튀어 나오는 모습을 보기도 합니다.

 

식욕이 별로 없음에도 아랫배가 튀어 나오는 이유는 해당 부위가 차가우면서 위장에서 음식물의 분해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음식물이 위장 안에 오래 머물게 되고 위 뿐 아니라 소장에 정체되고 여기에 대장 내 노폐물 배설이 잘 안 되는 상황이 겹쳐지면 배에 더 많이 튀어나오고 심지어 단단해지기까지 합니다.

 

복부팽만 소화불량 증상은 식욕부진 가스창만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맛이 떨어지면 음식물을 자주 섭취하지 않으려하고 그러다보면 위장은 자기 일을 점점 더 안 하게 되고 나아가 전반적인 기능 저하가 나타납니다. 소화가 안되어 죽만 드시는 경우 나중엔 죽도 소화가 안되고 미음 종류나 환자 식만 섭취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소화가 좀 살아나면 계속 부드러운 것만 찾지 말고 조금씩 고형식을 드셔야 정상적인 위장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뭔가를 조금만 섭취해도 헛배가 부어오르기도 합니다. 심지어 공기창만증이라 하여 가스가 더부룩하여 방귀가 잘 나오고 시도 때도 없이 트림이 나오는데 소화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러 억지 트림을 하기도 합니다. 습관이 되면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트림을 하여 눈총을 받기도 합니다.

 

복부팽만 소화불량 증상은 복통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뒤이어 변비나 설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떠한 변비나 설사는 기본적으로 배에 가스가 찬 이후에 나타나는데 어떤 이에게는 변비가 또 다른 이에게는 설사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반복되는 복통 설사 변비를 동반하는 질환을 과민성대장증후군이라 부르며 신경을 자주 쓰고 예민하고 스트레스를 잘 받는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남녀노소 상관없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반적으로 혈관벽에 염증이 잘 생기고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혈관이 수축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수축된 혈관 내부엔 혈액이 원활하게 흘러갈 가능성이 떨어집니다. 위나 장은 혈관 분포가 많아 혈액 순환이 잘 안되면 세포나 조직에 신선한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습니다. 먹을 게 부족한 세포나 조직은 자신만의 활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나아가 위장 운동기능저하와 소화효소 분비력 저하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소화력을 떨어뜨리게 되어 복부팽만 소화불량 증상을 일으키거나 더욱 심하게 만들게 됩니다. 마음을 편하게 하고 위장에 신선한 혈액을 공급시키려면 심장을 강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펌프로서 심장 기능을 좋게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심장이 튼튼하면 맥박이 불규칙하지 않고 안정되므로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 줍니다.

 

치료를 통해 복부 가스 해소는 물론 소화도 잘 되어 식욕이 늘어나게 됩니다.

 

문의 및 예약 전용 전화: 010-4639-3481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