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 style=”0″ image=”http%3A%2F%2Fhyoza.net%2Fwp%2Fwp-content%2Fuploads%2F2015%2F07%2F20150524_123327.jpg” width=”416″ align=”center” top_margin=”0″ alt_text=”%ED%98%88%EC%95%95%EC%95%BD%20%EB%B3%B5%EC%9A%A9″ full_width=”Y”]
혈압약 올바른 복용법 혈압약 종류별 특징과 선택시 주의
혈압약 종류에는 칼슘길항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이뇨제 등을 들 수있습니다. 혈압약 중 칼슘길항제는 근육수축을 억제하는 약물인데, 혈관도 근육이므로 이를 억제하여 혈관수축을 억제하게 됩니다.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ARB 라고 하며, 신장에서 분비되는 혈관수축물질인 안지오텐신이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막는 약물입니다. 베타차단제는 교감신경을 억제하여 심장박동을 인위적으로 느리게 하여 혈압을 낮추게 됩니다. 이뇨제는 몸안에 있는 체액량을 소변으로 배출시켜 혈압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혈압약 혈압을 낮추는 공통적인 작용을 하지만 작용하는 원리가 다르고 작용하는 인체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적합한 약재를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혈압약 중 칼슘길항제는 리바운드현상이 있습니다. 리바운드 현상이란 혈압약 복용하다 갑자기 중단할 시 혈압이 높은수치로 튀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는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편이며, 베타차단제와 이뇨제는 혈관의 딱지를 형성하는 피브리노겐 수치를 높이는데 일정 부분 관여합니다. 또한 발기부전과 고지혈증을 유발한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복용해야 합니다. 베타차단제는 현기증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장시간 운전을 하는 직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혈압약 장기복용에 대한 심각한 부작용은 알려진 바가 없으나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 자꾸 혈압약 종류와 갯수를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조절되지 약을 바꾸고 늘리는 것 보다는 조절되지 않는 이유를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음주, 흡연 습관이 개선되지 않았는지, 체중이 단기간 많이 불어나지 않았는지, 최근 업무량이 너무 많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지 않았던지 등을 체크하여 문제가 되는 습관을 개선하고 혈압 수치를 지켜봐야 합니다. 추이를 지켜보고혈압 수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지 않을 경우에만 혈압약 변경 혹은 종류나 용량증가 등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럼 혈압약은 무조건 평생 먹어야 하나요? 이와 관련 된 글입니다.
그럼, 고혈압 한방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이 글을 읽어보세요.
글: 한의학박사 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