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열 치료

갱년기 열은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폐경에 이르기전 월경을 간헐적으로 할 경우까지는 열감이 별로 심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열감은 가슴이나 얼굴부근으로 많이 나타나며, 얼굴 홍조가 심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갱년기 증상들

여성들이 40대 후반 혹은 50대 초반의 연령에 이르면 생리주기가 점차 길어져 매월 하던 월경을 몇달씩 거르기도 하고, 양이 점차 줄어들면서 폐경에 이르게 됩니다. 이런 시기를 갱년기라 하는데, 여성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안면홍조, 쉽게 예민해지고 짜증나고 불안 초조함, 우울함, 가슴 두근거림, 밤에 잘 때 식은 땀이 나는 증상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또한 몸의 대사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조금만 먹어도 살이 쉽게 찌기 쉬우며, 심장 두근거림이 심해지고 심리적 안정이 안되면 갱년기 이전에 저혈압 이었던 분들도 고혈압이 되기도 합니다. 건망증도 심해져 방금 무슨 일을 하겠다고 생각했는데, 돌아서서 잊어버리는 일이 허다해 집니다.

체형에 따라 갱년기 치료법이 달라

이 모든 증상이 호르몬 부족 현상 때문인데, 호르몬은 한의학적 개념으로 진액에 해당합니다. 진액부족을 ‘음허’ 라고 일컫는데, 갱년기 증상은 음허 증상과 상당히 유사하므로 음허로 보고 치료를 하면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갱년기를 좀더 편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음허 증상이 얼굴홍조, 오후 발열, 야간 식은땀, 요실금 혹은 대변 실금, 눈밑 떨림, 입술 떨림, 가슴 두근거림 등인데, 모두 갱년기때도 많이 볼 수 있는 증상입니다. 음허 증상으로 화가 왕성해지는데, 이로인해 심장박동이 빨라져 가슴이 두근거리게 되고, 얼굴에 열감이 많아지고 홍조를 자주 띄게 되므로 부족한 진액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체열을 끄는 것이 갱년기 열 및 증상의 치료입니다. 특별히 주의할 사항은 진액을 보강하기 위해 보혈약과 보음약을 복용하면 자칫 살이 찌기 쉬운데, 이에 해당하는 약재 중 대표적인 것이 숙지황과 백수오 입니다. 평소 마른 체형의 사람들에겐 이들 약재가 갱년기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되지만, 살집이 있는 분들은 오히려 체중증가로 인한 이차적인 무릎, 허리 통증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글: 한의학박사 한진

 

역류성식도염 치료는 경희효자한의원에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