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치위 통증

명치위 통증은 급체 일부와 역류성식도염에서 볼 수 있는 증상입니다. 급체로 인한 명치위 통증은 주기적인 아픔이 참기 어려울 정도로 나타나고, 역류성식도염으로 인한 명치위 통증은 식사후 혹은 하루종일 그득하고 답답한 양상을 나타냅니다.
명치위 통증은 급체 일부와 역류성식도염에서 볼 수 있는 증상입니다. 급체로 인한 명치위 통증은 주기적인 아픔이 참기 어려울 정도로 나타나고, 역류성식도염으로 인한 명치위 통증은 식사후 혹은 하루종일 그득하고 답답한 양상을 나타냅니다.

 

명치위 통증의 특징

평소 소화가 잘 안되고 만성 위염이 있는 경우 명치 아래 통증이나 명치 통증을 호소하는 일이 많습니다. 하지만 드물게 명치위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명치위 통증은 급체한 경우와 역류성식도염에서 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명치 위 부위는 식도와 위가 연결된 부위로 괄약근이 존재하는 곳으로 수축과 이완이라는 주기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 곳입니다. 다른 위장관 들도 주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섭취한 음식물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운동을 합니다. 급체로 인해 주기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하는 부위에 음식물이 걸리면 주기적으로 명치위 통증이 유발되고 심할때는 숨쉬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찾아옵니다. 서서히 분해되고 걸린 음식물이 다음 장기인 위 부위로 내려감에 따라 증상이 완화되는데, 호전되는 속도가 매우 느리며 일반적인 침치료에 대한 반응도 명치 아래 통증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급체시 식도와 위에 걸리는 음식물은 조금 단단하지만 가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면 새우 소금구이를 먹을때 수염 부분을 제대로 씹지 않은 상태에서 삼키면 식도와 위 연결부위에 걸리는 일이 많으므로 평소 식사시 잘게 오래 씹을 필요가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의 명치위 통증

역류성식도염에서 나타나는 명치위 통증은 주기적인 통증이라기 보다는 묵직하게 이어지는 답답함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고 식후 심해지는 경우가 많은 편이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하루 종일 그득하고 답답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위 자체의 소화, 분해 능력이 개선되어야 하므로, 급체로 인한 명치위 통증 보다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고, 역류성식도염 자체가 스트레스에 민감한 질병이므로 심리적 안정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역류성식도염에서는 명치위 통증과 더불어 목이물감도 자주 나타나는 증상인데, 목이물감 또한 심리적 안정이 치료기간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만성 위염 명치 통증 박동 부위 치료

만성위염의 명치통증은 1번과 2번 그리고 3번 영역에서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뻐근하고 식후 답답함이 주증상입니다. 1번 영역이 뻐근하면 음식물이 식도에서 위로 넘어오는 과정이 힘들어진것입니다. 여기가 답답하고 아프면 불면증이 자주 나타나 밤에 잠에 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중간에 자주 깨기도 합니다. 2번과 3번 영역이 뻐근하면 음식물이 분해되지 않고 위의 중앙이나 출구부위에서 정체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입맛이 떨어지기도 하고 속이 더부룩함을 많이 느낍니다. 3번 영역이 심장이 박동하는 것처럼 뛰는 경우도 있는데, 주로 신경이 예민한 분들에게 자주 나타나고 신경을 많이 쓰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4번 영역은 아랫배 가스창만이 많이 나타나는 부위입니다. 대변을 보고도 덜 본 느낌이 들고 항상 가스가 차고 소화가 덜되는 느낌을 받을때 다른 사람의 살처럼 느껴지고 피부 감각이 저리기도 합니다. 4번 영역 역시 가스창만이 심하면 심장 박동처럼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위염 속쓰림 위장병 치료 기간 과정

위장병 치료목표

위장병으로 유발되는 증상 (명치통증, 목이물감, 어지럼증, 등통증 등) 을 완화시키고, 소화기능을 증진시키고 이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식사의 경우 밥, 야채, 삶은 고기를 별다른 증상 없이 편하게 드시게 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위장병 치료기간

통상적으로 2 개월 정도 소요되며, 개인차가 있어 한달내로 치료되는 경우도 있고 조금 더 길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장병 치료 방법

기본적으로 가루약, 목향공진단을 처방하며, 주 1~2회의 침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탕약은 위 운동기능을 개선시키며, 상하순환이 안되는 경우 상체열은 제어하고 하복부는 따뜻하게 하며, 명치통증이나 답답함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공진단은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신경성 혹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해소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양기를 보강할 목적으로 처방되며, 목이물감 해소에는 공진단이 특히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심리적 안정 정도에 따라 사향공진단과 목향공진단을 구분지어 처방하며, 심리적 원인이 아닌 위장병의 경우 공진단 처방을 하지 않습니다. 침치료는 주2회혹은 1회 실시하며, 복부를 부드럽게 하고, 목이물감과 목의 긴장도를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위장병 치료 기간에 따른 효과

개인에 따라 조금씩 다른지만, 치료 시작후 통상적으로 10일정도에 명치통증이나 가슴답답함, 어지럼증, 목이물감이 조금씩 사라지고, 한달 정도면 속이 많이 편해져 오히려 식욕이 증가하여 배고픔을 자주 느끼기도 합니다. 한달 이후의 치료는 나아진 증상을 유지하고 향후 치료 종료후 재발방지를 목적으로 이루어 집니다.

역류성식도염 위염

문의: 02)6741-7890

글: 한의학박사 한진

Leave a Comment